본문 바로가기
  • Evolutionary Psychology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psychology
  • An attempt to answer profound questions about life
Family

싱글 여성이 독신 남성 보다 훨씬 더 행복한 이유 - 싱글, 독신, 이혼한 남성들의 정서적인 문제

by Editor in Chief 2025. 7. 7.

 

 

💍 왜 여성들이 이혼을 먼저 시작하는가
결혼을 끝내는 문제에서 여성들이 선택과 행동을 먼저 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이혼의 약 69~70%가 여성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패턴은 수십 년간의 과학 연구로 입증되었습니다.

🧠 남성들이 결혼을 떠나기 두려운 이유: 건강, 직업, 기대수명
남성은 여성보다 결혼과 동거에 대한 욕구가 더 강하며, 이는 결혼이 남성 건강과 기대수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많은 연구로 뒷받침됩니다. 결혼한 남성은 심혈관 질환 발생률이 낮고, 심장마비 사망률이 미혼 남성보다 46% 낮습니다. 이 같은 혜택은 직업 전망과 수명에도 이어집니다.

🚹 남성들이 이혼을 꺼리는 이유: 사회적 압박과 외로움
많은 남성은 결혼함으로써 건강, 직업 기회, 수명 등에서 더 많은 혜택을 누립니다. 이런 이유로 남성들은 안정성 상실, 외로움, 성공적인 가정을 유지해야 한다는 문화적 압박 때문에 이혼을 꺼립니다.

🔄 왜 여성들이 먼저 이별을 제안하는가
반면, 대부분 여성들이 남성보다 이혼이나 관계 종료를 더 자주 제안합니다. 여성에게 결혼은 이득과 손실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미혼이나 자녀 없는(DINK) 여성은 결혼한 여성보다 정서적·신체적으로 더 잘 적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싱글 생활의 패턴: 여성 대 남성
연구는 여성들이 남성보다 싱글이나 DINK 생활을 선택하는 경우가 더 많다고 보여줍니다. 반면 남성들은 의식적 선택이라기보다는 파트너를 찾지 못해 미혼 상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 여성은 싱글 생활에 더 잘 적응한다
여성은 싱글 또는 DINK 생활에서 훨씬 더 잘 적응하며, 인간관계, 삶에 대한 만족도, 성적 만족도가 높고, 평생 성적 파트너를 원하는 욕구가 더 낮습니다.

🚹 남성 싱글 생활의 위험성
하지만 미혼 남성은 싱글 생활을 선택하는 경우가 적고, 외로움, 건강 문제, 조기 사망 위험이 여성보다 훨씬 높습니다. 남성은 결혼과 이성 파트너에 대한 의존도가 깊습니다.

🛑 남성이 이혼을 잘 제안하지 않는 이유: 안정성 상실에 대한 두려움
남성은 파트너에 의존해 정서적, 재정적 안정을 유지하기 때문에, 설령 결혼 생활에 불만이 많더라도 먼저 이혼을 제안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이는 심리적, 문화적, 건강 관련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남성은 여성보다 안정성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큽니다.

 

 

🔁 이혼 후 남성과 여성의 다른 삶의 여정
2018년 《Sociological Inquiry》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여성보다 이혼, 재혼, 동거를 반복적으로 추구하는 경향이 더 강해 파트너십에 계속 의존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반면 여성은 전 배우자나 자녀에 대한 돌봄 책임이 계속될까 두려워 재혼을 꺼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혼한 여성이 재혼을 선택할 때는 경제적 필요(양육비 부족)나 해결되지 않은 정서적 문제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 “이혼이 남성에게 미치는 정서적 부담”
한편 많은 남성에게 이혼은 감정적 혼란뿐 아니라 미래에 대한 깊은 불확실성을 가져옵니다.
연구는 이혼 후 남성들이 상당한 정서적 혼란을 겪는다는 점을 확인합니다.

😟 “남성의 외로움과 성적 파트너 상실”
남성에게 외로움은 자신의 생물학적·성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던 평생의 성적 파트너나 배우자를 잃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깊은 두려움으로 다가옵니다. 연구에 따르면 결혼한 남성은 미혼 남성에 비해 훨씬 더 우수한 신체적 친밀감과 정서적 지지를 누립니다.

🏆 “사회적 비교와 지위 하락”
재정적 불안정, 성적 외로움, 고립감이 결합되면, 다른 결혼한 남성과 비교해 자신이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열등감과 ‘경쟁 상실’ 감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남성 사회 정체성에 관한 연구는 이혼이 생계 제공자 역할에 연관된 자존감에 타격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남성성 상실과 혼자 늙는 것에 대한 두려움”
익숙한 일상이 갑자기 깨지고 곁에 친밀한 파트너가 없다는 사실은 남성성 상실에 대한 마비적 두려움과, 파트너 없이 혼자 나이 들어가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공포를 만들어냅니다. 노년 남성에 관한 연구는 이혼 남성이 훨씬 더 높은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보고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 “새로운 사랑을 다시 시작해야 하는 부담”
새로운 파트너와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생각은 남성에게 매우 부담스럽고, 감정적 투자에 따른 손실감도 크게 작용합니다. 심리학 연구는 남성들이 이혼 후 새로운 연애를 꺼리는 경향이 크다는 점을 확인합니다.

📚 “노년층 이혼: 자유와 외로움”
2024년 《Aging & Mental Health》 연구에 따르면, ‘그레이 이혼(노년층 이혼)’을 겪는 노인들은 종종 새롭게 얻은 자유와 깊은 외로움을 동시에 경험하지만, 평균적으로 여성들이 이혼 후 더 긍정적인 정서적 결과를 보고합니다. 노년 이혼 여성은 노년 미혼 남성보다 더 큰 행복과 적응력을 보입니다.

📊 “연령대별 후회: 남성의 인생 선택 반성”
한국에서 연령대별 가장 큰 후회는 10대 —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은 것, 20대 — 잘못된 대학 선택, 30대 — 잘못된 결혼, 30~50대 남성 — 아내에게 잘못한 일 혹은 직장 그만두고 창업 후 실패한 경험, 50대 — 젊을 때 공부하지 않은 것과 교육 부족으로 힘든 삶을 산 것입니다. 이 지역 조사 결과는 이혼과 결혼 결정이 중년 남성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불만족스러운 결혼에 머무르는 역설”
이 결과들은 한 가지 역설을 보여줍니다: 남성들은 성적·정서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도 불안정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불행한 결혼에 집착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남성들은 외로움에 맞서기 위한 방어막으로 결혼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진화적 불안과 남성의 사회적 지위”
진화론적으로 알파 남성은 여러 배우자를 유지합니다. 그래서 평생의 성적 파트너나 친밀한 유대가 없는 것은 낮은 지위의 남성으로 느껴집니다. 진화 심리학은 지위, 파트너 접근성, 남성 자아 개념 간의 연관성을 강조합니다.

🤝 “장기 관계를 재구축하려는 욕구”
이혼이 안도감을 줄 수 있어도, 남성들은 종종 결혼이나 동거를 계속 추구합니다. 이는 장기적인 유대가 그들의 정서적 안정에 매우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이혼 후 경로를 보면 남성들은 정서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으며 새로운 파트너를 갈망합니다.

😶 “사회적 제약: 남성은 부정적 감정을 억누른다”
남성들은 사회적으로 부정적 감정을 억누르도록 길러집니다.
2015년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연구는 남성의 감정 억제가 특히 초기 결혼에서 관계 만족도를 해친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 “숨겨진 정서적 병목”
결혼 초기에 남성들은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감정을 숨깁니다—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감정 억압은 갑작스러운 변화를 초래해, 아내들이 “그가 갑자기 변했다”고 말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감정 문제는 결혼 후반에 나타나며 관계 단절로 이어집니다.

🛑 “정체된 정서 역학”
남성들이 취약함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지 못하면, 그들의 불행은 일상으로 정상화되고, 종종 서구에서는 불법 약물과 알코올, 동양에서는 음주와 흡연으로 가려집니다. 감정 억압에 대한 자기치료 성향은 정신 건강 연구에서 문서화되어 있습니다.

🔒 “정서적으로 충족되지 않는 결혼에 갇히다”
이러한 역학은 남성들을 불행한 결혼에 가둡니다—정서적 고통에도 불구하고 파트너와 함께 있는 것이 더 안전하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낮은 지위의 미혼 남성으로 존재하는 것은 그들의 정체성과 사회적 위치를 위협합니다. 이혼한 남성들은 분리와 연관된 실패감을 자주 표현합니다.

⚙️ “문화 규범: 이혼은 약함”
전통적이거나 남성 중심 문화에서 이혼은 실패로 여겨집니다—이는 남성들이 불만족스러운 결혼을 끝내는 것을 꺼리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연구들은 남성 이혼에 대한 문화적 낙인이 결혼 지속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궁극적으로, 많은 남성은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지 못하고 정서적 혼란이나 약해 보이는 두려움 때문에 결혼에 묶여 있습니다.

 

 

👨‍👧‍👦 자녀에 대한 책임감

“이혼 후 아버지의 ‘집’에 대한 인식”

2021년 《사회복지와 가족법 저널》에 게재된 연구에서, 이혼한 아버지들이 ‘집’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탐구했습니다. 많은 아버지들은 집을 단순한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감정, 관계, 일상, 환경의 복합체로 묘사했습니다. 의미 있는 활동을 함께하고 정서적으로 지지하는 환경을 만들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아버지들은 종종 깊은 상실감이나 불안을 경험했습니다.

그러나 자녀들은 아버지의 집을 ‘주요’ 집으로 보지 않고, 어머니의 집을 진정한 ‘집’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인식은 일부 아버지들이 자신의 양육 노력이 충분히 인정받지 못하거나 가치 있게 여겨지지 않는다고 느끼게 했습니다. 자녀가 없을 때 아버지의 집은 종종 텅 빈 느낌을 주었고, ‘집’은 자녀가 있을 때만 존재한다는 생각을 강화시켰습니다.

 

⚖️ 자녀를 위해 불행한 결혼에 머무르기

“아버지들이 자녀를 위해 불행한 결혼에 머무르는 이유”

정서적으로 소외되거나 ‘부차적인 존재’로 인식되는 느낌은 많은 결혼한 남성들에게 큰 부담이 됩니다. 이 문제를 공개적으로 말하지 않더라도 그렇습니다.

결혼 생활에 불만족스러워도, 남성들은 종종 떠나지 않고 머무르는 선택을 합니다. 이는 파트너에 대한 사랑 때문이 아니라 가족을 재정적으로 부양해야 한다는 의무감, 죄책감, 문화적 기대 때문입니다. 많은 남성에게 머무르는 결정은 파트너에 대한 사랑보다 자녀에 대한 강한 책임감에서 비롯됩니다. 관계가 더 이상 만족을 주지 않아도, 떠나는 것은 가족, 특히 자녀에게 실패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 남성의 정서적 지원 네트워크 부족

“이혼 후 남성의 정서적 지원 격차”

남성들이 불행한 결혼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는 단일한 원인 때문이 아닙니다. 특히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남성 문화에서는 남성들이 감정을 억누르고, 파트너 없는 고독에 대한 두려움, 가족의 주된 부양자로서의 사회적 압박 등 여러 요인이 얽혀 있습니다.

남성들은 여성보다 동성 친구가 더 많다고 보고하지만, 그 관계들은 대체로 진정한 감정적 친밀감이나 개방성을 결여하고 있습니다. 학자들은 전통적 남성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와 취약함을 표현할 긍정적인 정서 교육 모델의 부족을 지적합니다. 많은 남성들은 취약함을 억누르고, 성적 능력에 집중하며, 가족을 위해 돈을 벌어야 한다는 교육을 받습니다—이는 여전히 많은 서구 문화에 깊이 뿌리내려 있습니다.

 

진화적 압력과 남성성
“진화, 남성성, 그리고 정서적 고립”

진화적 관점에서 보면, 남성 간 경쟁에서 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 다른 남성 앞에서 약하게 보이는 것에 대한 공포, 동성애적 애정을 표현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남성들이 정서적으로 개방하기 매우 어렵게 만듭니다. 결과적으로 많은 남성들은 마음을 열 안전한 공간을 찾지 못하며, 기능 장애적인 결혼에 머무르는 것이 분리되어 고립되는 것보다 낫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일부는 정서적 고통을 표현하기보다 과거 습관과 안락함에 집착하며, 침묵 속에 상처를 키웁니다.

 

🛡️ 남성성 재정의와 정서적 솔직함

“남성성 재정의: 정서적 연결 격려하기”

궁극적으로 많은 남성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남성성을 재정의하려는 이해와 격려입니다—타인에게 정서적으로 마음을 열 만큼 안전함을 느끼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공유하는 것이 자신을 소홀히 하는 것이 아니며, 정서적 솔직함이 약함의 신호가 아님을 깨달아야 합니다. 남성은 ‘알파 맨’이 평생의 성적 파트너를 가지거나 아이를 위해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이 아니라, 정서적 진실성과 진정한 연결에 있다고 이해해야 합니다.

 

왜 여성들이 결혼을 끝내는 경우가 더 많은가 — 그리고 그것이 드러내는 남성의 외로움에 대하여

대부분의 경우, 이혼을 먼저 제안하는 사람은 여성입니다. 이는 단순한 감정적 충동이 아니라 감정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얽힌 결과입니다. 남성과 여성은 결혼과 이혼에서 감정적, 신체적, 실질적으로 매우 다른 비용과 이득을 경험하며, 이러한 차이가 자연스럽게 누가 먼저 관계를 끝내는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많은 여성들에게, 만족스럽지 못한 결혼을 떠나는 것은 정서적 해방, 더 큰 자율성, 그리고 종종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남성에게 결혼의 종료는 깊은 정서적 상실감, 고립감, 그리고 자신의 지위, 정체성, 안정감에 대한 혼란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계적으로 남성은 결혼을 통해 더 나은 건강, 직업 안정성, 수명을 누리는 반면, 이러한 이점들 때문에 이혼은 개인적인 실패나 깊은 실존적 위협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 불균형의 핵심에는 ‘남성의 외로움’이라는 조용하고 자주 말해지지 않는 문제들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많은 남성들은 낭만적 관계 외에 강한 정서적 지원 체계를 갖추지 못했습니다. 문화적 조건과 남성성 규범 때문에 정서적 취약성을 억누르면서, 건강한 대면 대신 정서적으로 철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들에게 파트너는 단순한 동반자가 아니라, 정서적 친밀감, 성적 애정,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거의 유일한 창구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그 관계가 무너지면, 단순한 이별이 아니라 그들의 정서적 생태계 전체가 붕괴되는 것과 같습니다.

결혼이 끝나는 이런 성별 간 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비난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관계와 이혼에 대해 더 공감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갖게 하며, 사회가 남성들이 취약함을 표현하고 연결을 추구하며 정서적 회복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재고하도록 초대하는 일입니다 — 결혼 안팎에서 모두 말입니다.

 

 

References

Gender Differences in Divorce Initiation
Amato, P. R., & Previti, D. (2003). People’s reasons for divorcing: Gender, social class, the life course, and adjustment.
Journal of Family Issues, 24(5), 602–626.
https://doi.org/10.1177/0192513X03254507
▸ Shows that women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initiate divorce, and explores their reasons (emotional dissatisfaction, lack of support, etc.).

Rosenfeld, M. J. (2017). Who wants the breakup? Gender and breakup in heterosexual couples.
Social Forces, 95(3), 983–1007.
https://doi.org/10.1093/sf/sow092
▸ Finds that 69% of divorces are initiated by women in the U.S., often due to unmet emotional needs and relational expectations.

🔹 Emotional Suppression in Me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Holmberg, D., & Blair, K. L. (2009). Men’s emotion suppress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mediation of intimacy.
Personal Relationships, 16(4), 465–482.
https://doi.org/10.1111/j.1475-6811.2009.01230.x
▸ Suppression of emotions in men leads to lower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both partners.

Impett, E. A., et al. (2015). Keeping it together: Intimacy as a protective factor for sexual and relationship well-being among couples coping with sexual proble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9(2), 267–285.
▸ Highlights how emotional expression and intimacy buffer against relationship decline.

🔹 Men’s Mental Health and Loneliness Post-Divorce
Umberson, D., & Williams, K. (2005). Divorce and health: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6(1), 83–98.
https://doi.org/10.1177/002214650504600107
▸ Men experience greater declines in health and social support post-divorce than women.

Lee, G. R., & DeMaris, A. (2007). Widowhood, gender, and depression: A longitudinal analysis.
Research on Aging, 29(1), 56–72.
▸ Although focused on widowhood, this paper explores the gendered emotional toll of losing a partner and how it disproportionately affects men’s mental health.

🔹 Fatherhood and Identity After Divorce
Mandemakers, J. J., & Kalmijn, M. (2014). Do mother and father involvement matter for adolescents’ mental health?
Social Science Research, 43, 134–146.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13.09.002
▸ Explores how paternal involvement post-divorce can be emotionally complex and under-recognized.

Gulbrandsen, L. M., & Tjersland, O. A. (2013). How do children and parents experience family mediation? A qualitative study.
Conflict Resolution Quarterly, 31(2), 171–195.
▸ Highlights how children often regard the mother’s home as the “real home,” even when fathers remain engaged.

🔹 Masculinity, Vulnerability, and Support Systems
Mahalik, J. R., Burns, S. M., & Syzdek, M. (2006). Masculinity and perceived normative health behaviors as predictors of men’s health behaviors.
Social Science & Medicine, 64(11), 2201–2209.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7.02.035
▸ Shows that masculine norms can discourage help-seeking and emotional vulnerability.

Seidler, Z. E., et al. (2016). The role of masculinity in men’s help-seeking for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49, 106–118.
▸ Strong link between traditional masculinity and reluctance to express emotional pain or seek therapy.

 

 

 

 

  • 왜 여성들이 먼저 이혼을 제기할까
  • 남성을 결혼에 붙잡아 두는 건강과 경력의 이점
  • 남성의 이혼 공포: 외로움과 사회적 낙인
  • 여성들이 불행한 결혼을 떠나는 이유
  • 독신 생활: 더 건강한 선택이 되는 여성들
  • 독신과 싱글 남성이 겪는 고유한 어려움
  • 남성들이 스스로 이혼을 잘 제기하지 않는 이유
  • 이혼 후 재정적·정서적 안정 상실에 대한 두려움
  • 남성과 여성의 이혼 후 서로 다른 삶의 경로
  • 결혼에서 충족되지 않은 욕구와 그에 따른 두려움
  • 남성에게 이혼이 남기는 정서적 대가
  • 남성의 외로움과 배우자 상실의 상처
  • 남성의 사회적 비교와 지위 하락의 체감
  • 남성성 상실과 홀로 나이 들어 늙어갈 것에 대한 두려움
  • 이혼 후 새로운 연애를 시작하는 데 따르는 부담
  • 황혼 이혼: 자유와 외로움 사이
  • 나이대별 후회: 남성 인생의 반성들
  • 남성들이 불행한 결혼을 유지하는 이유
  • 진화적 불안과 남성 지위의 압박
  • 장기적 관계 재구성, 동거와 재혼에 대한 남성의 갈망
  • 사회적 조건화: 남성의 감정 억압
  • 결혼 안에서 숨겨진 감정 병목 현상
  • 정서적으로 고립된 결혼에 갇힌 남성들
  • 문화적 낙인: 이혼은 곧 약함이라는 인식
  • 충족되지 않은 욕구와 결과에 대한 두려움

 

 

 

 

댓글